Architecture, engineering & construction

오프사이트 건축 기술이 건축산업의 추진력을 가속화한다

Vicki Speed
18 October 2014

뉴욕 시에 자리잡은 초고층 주거용 건물에서부터 유럽의 저가 호텔에 이르기까지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및 모듈 시스템은 가치를 더하는 방법으로서 건축주, 건축설계사, 하도급업체, 패브리케이션 제작업체, 제품 제조업체의 관심을 사로잡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프리패브리케이션 지지자들은 용적 기반의 반 맞춤 형 솔루션을 광범위한 건축 도전 과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하면서 '오프 사이트(offsite) 건축 기술'을 복잡한 프로 젝트들에 점점 더 많이 적용하고 있다.

미국 유타대학교 건축 계획 공학부의 부 교수 겸 학부장이자 국립건축과학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의 오프사이트 건축위원회(Off-Site Construction Council, OSCC) 회장인 라 이언 스미스(Ryan Smith)는 이렇게 설명 한다. "일본 및 영국 같은 지역에서는 토 지가격과 인건비로 인해 건축주와 프로젝 트 팀이 오프사이트 건축 방식을 채택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 로 볼 때 오프사이트 건축 방식에 대한 관심은 건축 생산성 향상과 숙련된 노동 력 부족이라는 두 가지 도전과제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북미 건축 방식의 변화

엔지니어링 및 건축산업에 관리 컨설팅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 FMI는 2014 미국 건축시장 개요(2014 US Markets Construction Overview)를 통해 숙련된 건축기술자의 부족으로 인해 미국의 건축 산업에서 모듈화와 프리패브리케이션이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캘리포니아주 오테이 메사에 위치한 사설 교도소 운영업체 CCA(Corrections Corporation of America)의 교도소에 적용된 모듈 건축 (이미지 제공 © Sundt 건설)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본사를 둔 건 축회사 Sundt의 사전건축서비스 담당 이 사 돈 굿리치(Don Goodrich)는 이렇게 말 한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일차적으로 는 가장 낮은 비용으로 정확한 일정 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자사의 의지 가 프리패브리케이션과 모듈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기계, 전기, 배관(MEP) 하 도급업체들은 상당한 노동력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프리패브리케이션과 모듈화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건물정보모 델링(BIM)을 점점 더 많이 이용하게 되면 서 프리패브리케이션을 현장에 적용하기 가 더욱 수월해지고 있습니다."

돈 굿리치는 프리패브리케이션 접근법의 활용 시점은 특정 프로젝트가 안고 있는 도전 과제들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당사 는 한 작업에서 활용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과 모듈 기술을 다른 작업에 최대한 적용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Sundt은 사설 교도소 건축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모듈 기술 접근법을 훨씬 더 큰 규모의 국영 교도소 시설 건축 프로젝트에 적용했다.

전세계 다양한 산업의 기회

영국에 본사를 둔 국제 인프라 라이프사이 클 서비스 회사인 밸포 비티( Balfour Beatty)는 일년 전 잉글랜드 버밍엄에 위 치한 퀸 엘리자베스 병원(Queen Elizabeth Hospital)을 위한 서비스 수행 중 보다 높 은 가치 구현을 위해 프리패브리케이션과 모듈 방법을 채택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벨기에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인터 이케아 그룹은 가구 브랜드인 I KEA의 모회사로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호텔산업 회사 메리어트 인터네셔널과 파트너십을 체결 하고 프리패브리케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유럽에 저가 호텔을 만들었다.

FMI의 수석 컨설턴트인 에단 코울스 (Ethan Cowles)는 패스트푸드 시장에서 는 이미 대세로 자리잡은 프리패브리케이 션과 모듈화의 활용이 보건의료, 호텔산 업, 교육 분야에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 한다. OSCC의 라이언 스미스도 이에 동 의한다.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자동차 서비스 센터, 육아시설, 데이터센터, 병원, 다가구주택, 중층 건물, 반복 가능한 구조 적 필요를 가지고 있는 그 밖의 여러 건 축물의 건축주들은 설계-구축 및 통합된 작업 진행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 니다."

전통적인 방식의 재해석

프리패브리케이션과 모듈화의 장점은 분 명하지만 그렇다고 단점이 없는 것은 아 니다. 이는 뉴욕의 B2 Tower 프로젝트와 관련된 소송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단 코 울스와 라이언 스미스는 현장 밖 접근법 은 초기 조율과 의사결정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그 밖에도 건축주, 건축설 계사 및 하도급업체들은 수십 년 동안 건 축산업의 표준으로 자리잡아온 전통적인 프로세스를 재해석해내야 한다.

라이언 스미스는 이렇게 말한다. " (현장 밖 건축에 있어) 기술적인 도전 과제나 프로 세스의 복잡성은 매우 적습니다. 현장 밖 건축이 직면한 도전 과제는 전략적인 지 식, 즉 현장 밖 건축이 진행되는 지역의 사회, 정치, 규제, 경제적 배경 같은 문제 들에 보다 많은 관련성이 있습니다."

라이언 스미스는 프리패브리케이션과 모 듈화를 건축물 구축 사이클에 통합함으로 써 가치를 더할 수 있지만 그것이 만병통 치약은 아니라고 덧붙인다. "이러한 방법 이 모든 프로젝트에 채택되리라고는 생각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인 프로젝 트의 구성요소로서 노동력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증대하며 일정을 앞당기는데 도 움이 될 수는 있습니다. 즉, 가치를 더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GMwwsvj9xkg

Related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