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파괴

건설업계에 혁신이 필요한 이유

Nick Lerner
26 October 2013

최근까지만 해도, 건설업계는 기술 도입이 늦어지면서 수백 년 전부터 해오던 오래된 공정과 절차에 의존하여 복잡한 현대식 프로젝트를 관리했다. 그러나 이제는 제조업계의 효율성 향상에 활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이 건물 시공 분야에 보급되고 있다. Compass는 저명한 건설업 컨설턴트 Perry Daneshgari 박사로부터 건설업에 혁신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들어봤다.

지난 50년은 기술적 진보 속도가 두드러졌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저마다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개선했지만 건축 기술만은 여기에서 뒤쳐져 있었다. 미국국립표준기술협회(SITC), Tulacz 및 Armistead에서 공동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노동력 조정과 자재의 관리, 운송 및 시공에서 발생하는 낭비가 25~50%에 달했다. 재능과 기술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고, 예방할 수 있는 사고가 발생하는가 하면, 생산성 또한 저조한 경우가 많았다.

PwC는 높은 성장률을 예상하면서 앞으로 10년 후면 건설업이 세계 경제의 13%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바야흐로 변화를 위한 시간이 무르익은 것이다.

공정 및 제품 관리 도입으로 유명한 건설업계 컨설턴트 Perry Daneshgari 박사는 건설업계의 쇄신을 위해서는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의 이론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Perry Daneshgari 박사는 "지난 250년에 걸쳐 제조업계는 작업과 노동 부문을 분리해야 한다는 아담 스미스의 사상을 그대로 실천하면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물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 "공급을 창출하고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모두 도움이 되는 통계적 공정 관리(SPC)를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어 왔습니다."

고층 건물

건설 공정 모델은 수백 년간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고도로 숙련된 근로자들은 업무 시간의 80%만으로도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하고 있다. Daneshgari 박사는 "공장에서 부품을 만들면 저숙련 노동자를 고용해 공장을 운영할 수 있다"고 했다.
"그렇게 되면 비용이 절감되고 품질은 향상되는 동시에 현장에서의 재작업이 줄고 전체적인 작업 관리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현장 작업은 각각 용도에 맞게 품질이 보장된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으로만 구성됩니다."

자동차업계에서는 SPC를 적용해 자동차 품질을 높이고 가격을 낮출 수 있었다. 건설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을 채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낭비 요소가 많고 가격이 높아졌다는 것이 Daneshgari의 설명이지만, 그는 변화가 있을 것이라 믿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기업들이 건설업에서 엄청난 기회를 엿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공조 업체(www.broad.com)는 사업을 확장해 산업적인 수준에서 단 6일만에 대형 건물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에서는 세계 최고층 건물 스카이 시티를 120일만에 완공하기 위해 매일 5층씩 시공 중입니다.
도급업체들이 대기업에 합병되는 사례도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경기에는 민감하고 기술과도 거리가 멀면서 또한 육체적으로 힘들고 위험한 건설업을 새롭고 혁신적인 인재들을 끌어들이는 산업 분야로 탈바꿈시키고 있습니다."

산업화의 장점에 관해 Daneshgari 박사는 "절반의 자원을 가지고 두 배의 속도로 시공할 수 있다는 사실로 입증되었습니다. 건설업에 기술을 적용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제대로 활용한다면 그 영향과 성과는 상당할 것이고, 또 그럴만한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오류율 제로

자재 적치 문제는 여러 층에 걸쳐 각각의 건설 자재를 겹쳐놓는 동안 발생하는 사소한 오류에서 비롯되며, 이 때문에 전기, 전력, 그리고 난방, 환기 같은 기타 서비스 작업이 구조물과 맞지 않는 상황으로 이어진다. Daneshgari 박사는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고급 숙련공을 현장에 투입해서 착암기로 연결 부위의 콘크리트를 개조하거나 기계적 작업 부분을 변경해야 하는데 비용도 많이 들어가고 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고 설명한다. "60년간 자동차업계의 표준 관행으로 자리잡은 통계적 변이 기법을 동원했다면 문제를 해결했을 것입니다."

박사는 "안타깝지만 건설업계의 연구 개발비 투자는 주요 산업 중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표준화된 제품과 모듈화된 공정을 활용하는 기술을 통해 혁신을 시작한다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건축 설계와 제작 부문에서는 3D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만 공정 모델 작업에 있어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Daneshgari는 효율성을 제고하고 낭비 요소를 없애며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설 회사와 정부가 R&D에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R&D에 투자한 기업은 비용 절감과 품질 향상을 통해 꾸준히 사업을 수주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형태의 기업들은 40%나 낮은 비용으로 쇼핑몰을 시공하고 있습니다. 재작업을 줄여 관계자들의 수익을 크게 개선하는 오차율 제로 건물이 건설되고 있습니다."

현명한 변화

새로 새롭게 정비된 건설 회사들이 외부 인재를 영입하면서, 건설업계에 한층 필요하고 소중한 전문 지식에 대한 열기가 높아졌다.

Daneshgari 박사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통해 업계 변혁을 주도하는 소수의 현명하고 진취적인 사람들이 건설업계에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고 말했다. "전통 방식에서 해방되어, 다른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면서도 강력하고 확실한 기술로 무장한 이러한 인재들이 건설업을 21세기로 이끌고 있습니다."

그는 공정 현대화라는 어려운 과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건설업자들이 업계 전체를 퇴보시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그는 산업 과학과 실무에 지대한 공헌을 한 W. 에드워즈 데밍(W. Edwards Deming)에 대해 이야기했다. Daneshgari는 데밍이 전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해야만 직원 개개인의 성과가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뉴턴과 아담 스미스의 생각, 그리고 20세기 들어서는 데밍의 주장을 바탕으로 산업 전반이 발전했고 지금과 같은 첨단 시대에 들어선 것입니다. 하지만 건설업은 대체로 이런 진보적인 경로를 그대로 따르지 않았습니다. 즉각적으로 대처하지 않는다면, 이처럼 급성장하는 산업 부문에서 엄청난 경제적 기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기업의 등장에 놀라게 될 것입니다." ◆

Dr. Perry Daneshgari, a widely published consultant to construction and other industries, holds a Ph.D.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University of Karlsruhe, Germany, and an MBA from Wayne State University (USA). Through his company, MCA Inc., he advises businesses around the world on process and product development, waste reduction, labor productivity improvement, project management, estimation, accounting and customer care. (Photo by David Lamarand)

PROFILE

건설업을 비롯한 산업계 컨설턴트로 널리 알려져 있는 Perry Daneshgari 박사는 독일 칼스루에대학교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그리고 미국 웨인주립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했다. MCA Inc.를 경영하면서 그는 전 세계 기업을 대상으로 공정 및 제품 개발, 낭비 축소, 노동 생산성 향상, 프로젝트 관리, 견적, 회계 및 고객 서비스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사진 제공: David Lamarand)

Related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