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포장재

재사용, 재활용 또는 생물분해가 가능한 포장재를 생산하는 것이 많은 기업들의 궁극의 목표다. 

Rebecca Gibson
28 April 2015

1 min read

새로운 바이오 소재, 더욱 스마트해진 제조 프로세스, 라이프사이클 평가 툴 등은 FMCG(회전이 빠른 소비재) 기업들이 비닐봉지의 환경적 영향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수축포장재부터 플라스틱 병과 폴리 에틸렌으로 만들어진 슈퍼마켓 비 닐봉지까지 FMCG 산업에서 나오 는 비닐봉지는 매년 전세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중큰비율을차지한다.예를들어,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모니카에 위치해 있 고 비닐봉지로 인한 오염을 줄이는 것을 목 표로 하고 있는 기업인 5 Gyres의 통계에 의하면, 미국에서 생산되는 비닐봉지 중 단 5%만이 재생되고 50%는 매립지에 매장되며 나머지는 바다로 휩쓸려가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사이언스(Science)지 2015년 2월호에 실린 ‘Plastic Waste Inputs From Land In to The Ocean’이라는 제목의 연구 결과를 보면 매년 약 800만 톤에 이르는 비닐봉지 가 전세계 바다에 가라앉고 있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좀 더 친환경적인 방 식으로 자재를 조달하고 제품을 생산 및 폐 기하기위해새로운소재,제조방식,폐기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다.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북미 지역 요식업 협 회인 Foodservice Packaging Institute(FPI) 의 린 다이어(Lynn Dyer) 대표는 외식업체 들이비닐봉지를설계할때두가지핵심질 문을 고려한다고 설명한다. "무엇으로 만들 어지는가?"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뒤에 무 엇을 할 수 있는가?"이다.

다이어 대표는 "제조업체들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 재활용 자재로 포장재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자재를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해 제 품의 친환경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 면, 누군가 50년 동안 사용한 자재를 재활용 해 발포폴리스티렌 컵으로 재탄생시킨 것은 불과몇년전의일입니다.다른기업들은 최초의 단열성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 이트) 컵과 단열성 폴리프로필렌 컵을 출시 한 반면, 종이컵 제조업체들은 종이컵의 플 라스틱 라이닝을 대체할 코팅 소재를 찾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 (California Polytechnic State University)의 졸업반 학생 알렉스 헤니지(Alex Henige)는 생분해성 커피잔의 대량 생산 자금을 마련 하기 위해 Reduce Reuse Grow 프로젝트 를 고안해냈는데, 이 커피잔에는 씨앗이 들 어있어 사용한 후에 물어 적셔 땅에 묻으면 된다. 헤니지는 캘리포니아 토착 씨앗을 넣 어 테스트해본 결과 180일 이내에 컵이 완전 히 생분해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바이오소재

식물성 지방, 콘 스타치, 농산물 부산물 등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 원료에서 파생된 바이오플라스틱이 인기를 얻고 있다. Coca- Cola, Nestle ́ PepsiCo, Heinz 등과 같은 다 국적 식음료 업체들과 Tetra Pak과 같은 포 장재 제조업체들은 바이오플라스틱 제품을 출시하거나 기존 제품군에 통합하고 있는 추세다. 벨기에에 본사를 두고 친환경 청정 제품을 제조하는 Ecover는 식물성 플라스틱 포장재를 개발했는데, 이 제품은 사탕수수 (75%)와 재활용 플라스틱(25%)으로 만든 플 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브뤼셀에 본부를 두고 있는 유럽무역 연합 Plastics Europe은 이런 소재가 매년 전세계에서 생산되고 있는 플라스틱 3억 톤 중 1%도 채 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 다. 하지만, 독일 베를린에 본사를 두고 있는 European Bioplastics의 연구 결과에 의하 면, 바이오플라스틱 생산량이 2013년 160만 톤에서 2018년 약 670만 톤으로 40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바이오플라스틱 

의 거의 75%가 아시아에서 생산될 것이며 현재 연구개발의 선두에 있는 유럽에서는 약 8%만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 포장재 공급업체 Amcor의 찰리 슈바 르츠(Charlie Schwarze) 글로벌 지속가능성 사업본부장은 "바이오플라스틱이 개발된 지 10년이 된 지금, 대략 30% 에탄올 기반 소 재로 만들 수 있는 식물성 PET가 출시 채 비를 마쳤습니다. 당사는 독일 함부르크에 본사를 두고 있는 산업 파트너 KHS와 함께 Plasmax를 상용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데, Plasmax는 병 안의 내용물이 산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 산화물 기반의 코팅제입니다. PET 재활용 공정에서 분리해 낼 수 있는 이 코팅제는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고 말했다. 

바이오플라스틱 생산량이 2013년 160만 톤에서 2018년 약 670만 톤으로 400% 이상 늘어날 것입니다.

400%  EUROPEAN BIOPLASTICS

미국 버지니아주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종 이 가방 및 비닐 봉지 제조업체인 MeadWestvaco(MWV)의 존 퍼킨스(John Perkins) 전략적 고객 파트너십 부사장은 바이오소재를 이용하면 브랜드 강화에도 도 움이 된다고 말한다.

퍼킨스 부사장은 "만일 한 기업이 천연 또는 친환경 제품을 판매한다면, 소비자들은 그 회사의 제품 포장재 또한 친환경 소재로 만 들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사는 고객 들이 소비 후 재활용된 수지, 바이오플라스 틱, 생물 고분자 물질, 생분해 물질, 재활용 이 가능한 판지 등을 사용해 탄소배출량 목 표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셈입니다. 실 제로, 당사는 프랑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요 거트 생산업체 Danone이 자체 판매하고 있 는 섬유질에 재활용된 물질을 더 많이 포함 시키고 당사가 Coca-Cola에게 공급하고 있는 종이 상자를 늘리도록 지원하고 있습 니다"고 말했다. 

기존의 방법을 재창조

또한, FMCG 업종에 속한 포장업체들은 새 로운 제조 기법을 이용해 포장 디자인을 적화하고 초기재료의 사용을 줄이고 있다. 다이어 대표는 "FPI 가입 기업 대부분 경량 화 기법을 이용해 포장재의 원자재 함유량 을 줄이고 있는데 그런 기법에는 디자인 변 경 또는 플라스틱 수지를 탄산칼슘이나 활 석 같은 재생 가능한 물질로의 대체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들은 경량화로 인해 외식업체들의 최우선 사항인 제품의 기능성 이 저하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MWV는 경량화 기법을 이용해 2011년에 월마트(Walmart)용으로 개발한 Shellpak 약통에서 플라스틱을 18% 줄였다. 퍼킨스 부사장은 "당사의 최우선 사항은 플 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더라도 노인 환자들도 쉽게 열 수 있고 어린이들에게도 안전한 제 품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고 말하며 이후 MWV에서는 플라스틱 대신 판지를 사용해 Shellpak를 다시 개발했다는 말을 덧붙였 다. 또, "마찬가지로, 당사가 개발한 Natralock은 당사의 도난 방지 포장 고객들 이 그 전에 사용하던 PVC(염화폴리비닐) 클 램쉘 대신 100% 재생 가능한 판지로 만들 었지만, 그렇더라도 물품을 도난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했습니다"고 말 했다.

MWV와 마찬가지로, Amcor도 2012년부터 이 방법을 이용해 플라스틱 병에서 플라스 틱 수지를 12,000톤 이상 줄였다.

슈바르츠 사업본부장은 "2013년에 당사는 기초 및 측벽 디자인을 수정했고 미국에서 인기 많은 64온스 Powerblock III 주스통의 제조 공정에서 플라스틱 수지 사용량을 8g 이상 줄였습니다"고 말하며, 2012년부터 수 지 사용량을 총 2,000톤 이상 줄였다고 덧 붙였다.

Amcor는 LiquidForm도 공동개발했는데, 이 것은 공기 대신 실제 제품에 압력을 가해 짜낸 액즙을 이용해 플라스틱 병을 본 뜨면 서 동시에 채우는 시스템이다.

슈바르츠 사업본부장은 "LiquiForm은 다수 의 생산 단계를 한 번에 진행하기 때문에 취입 성형과 채움 공정을 따로 따로 수행할 때 낭비되는 에너지를 현격히 줄입니다. 예 비 테스트 결과, LiquiForm은 전체 생산 및 운반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량을 20%~30%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초의 작동 모델을 2015년 말이나 2016년 초 즈음에 공 개할 수 있을 것입니다"고 말했다. 

 

현재, 많은 기업들은 포장재가 환경에 미치 는 영향을 대폭 줄이기 위해서는 원자재의 조달, 운반, 제조 방식뿐만 아니라 폐기 방 식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일부 기업에서는 C2C(Cradle-to- Cradle) 접근법을 도입했는데 이것은 한 번 사용한 후에 몇 번이고 재사용하거나 최고 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자재를 제품에 함유시키기 위한 조치다. 자연 공정을 그대 로 따르도록 되어있는 C2C의 목적은 자재 낭비를 없애고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는 것 이다.

MWV의 퍼킨스 부사장은 "C2C 라이프사이 클 접근법을 도입하면 단순히 손쉽게 재활 용할 수 있는 자재로 포장재를 만드는 것 이상의 효과가 있습니다"며, "MWV는 종이 상자에 인증된 섬유질을 환경적으로 지속가 능한 방식으로 생산, 수확, 제조,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당사는 코팅 제를 최소한으로 사용해 판지를 수차례 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은 물론, 숲에 새로 식물을 심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MWV는 Carlsberg Circular Community에 도 가입했는데, 이것은 무한정 재활용 및 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원래의 품질을 그대 로 유지할 수 있는 포장재의 개발을 장려할 것을 목표로 덴마크 양조업체 Carlsberg Group이 준비한 C2C 사업이다. 

Amcor는 자체 ASSET(Advanced Sustainability Stewardship Evaluation Tool) 도 사용해 포장재 솔루션을 상용화하기에 앞 서여러가지용기타입과디자인이그용기 의 라이프사이클 동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신속히 평가하고 정확히 산출하고 있다. 

ConsumerPackagedGoods&RetailGallery2

제품 라이프사이클 연장

현재, 많은 기업들은 포장재가 환경에 미치 는 영향을 대폭 줄이기 위해서는 원자재의 조달, 운반, 제조 방식뿐만 아니라 폐기 방 식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일부 기업에서는 C2C(Cradle-to- Cradle) 접근법을 도입했는데 이것은 한 번 사용한 후에 몇 번이고 재사용하거나 최고 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자재를 제품에 함유시키기 위한 조치다. 자연 공정을 그대 로 따르도록 되어있는 C2C의 목적은 자재 낭비를 없애고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는 것 이다.

MWV의 퍼킨스 부사장은 "C2C 라이프사이 클 접근법을 도입하면 단순히 손쉽게 재활 용할 수 있는 자재로 포장재를 만드는 것 이상의 효과가 있습니다"며, "MWV는 종이 상자에 인증된 섬유질을 환경적으로 지속가 능한 방식으로 생산, 수확, 제조,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당사는 코팅 제를 최소한으로 사용해 판지를 수차례 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은 물론, 숲에 새로 식물을 심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MWV는 Carlsberg Circular Community에 도 가입했는데, 이것은 무한정 재활용 및 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원래의 품질을 그대 로 유지할 수 있는 포장재의 개발을 장려할 것을 목표로 덴마크 양조업체 Carlsberg Group이 준비한 C2C 사업이다. 

Amcor는 자체 ASSET(Advanced Sustainability Stewardship Evaluation Tool) 도 사용해 포장재 솔루션을 상용화하기에 앞 서여러가지용기타입과디자인이그용기 의 라이프사이클 동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신속히 평가하고 정확히 산출하고 있다. 

특수목적용 포장재

8년 전, Nestle ́은 라이프사이클 평가 접근법 을 도입했고 여러 가지 포장재가 라이프사 이클 동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정확 히 이해하기 위해 PIQETI(Packaging Impact Quick Evaluation Tool)도 개발했다.

Nestle ́ Research Centre의 지속가능성 및 새 포장재 연구팀의 팀장인 크리스티앙 디 트로이(Christian Detrois) 박사는 "PIQET는 15,000건이 넘는 라이프사이클 평가에 사용 되었고 당사가 영국 시장에 출시한 Nescafe ́ Dali 파우치와 이탈리아 시장에 출시한 Crunch 및 Galak 초콜릿 포장재 등 각종 제품을 최적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 다"며, "이것이 당사의 EcodEX 툴로 대체되 었는데 이 툴을 이용하면 제품의 전체 라이 프사이클 동안 포장재와 내용물의 성분을 포함한 전체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두루 알아볼 수 있습니다"고 말했다.

현재, 30곳이 넘는 Nestle ́의 연구개발센터 에서 EcodEX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목 표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농경 및 포장 자재, 생산 공정, 복구 기법 등을 기반으로 최대한 친환경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데 많 은 도움이 되고 있다.

디트로이 박사는 "포장재를 설계하기 전에 친환경적으로 폐기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제품의 목표 시 장에 PET 재활용 센터가 없다면 제조업체가 아무리 기술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PET로 포장재를 만들더라도 환경에 이로운 점은 없을 것입니다"고 말했다. 

다양한 폐기 방법

디트로이 박사에 따르면, 앞으로는 여러 가 지 방식으로 복구할 수 있는 포장재를 설계 해 다양한 소비자 시장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다.

FPI의 다이어 대표도 이에 동의한다. 그녀는 "새로운 자재와 제조 공정, 라이프사이클 평 가 툴, 기타 폐기 대안을 도입해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 생분해가 가능한 제품, 소각해  축적에너지를다시포집할수있는제품, 바이오소재로 이루어진 제품, 여전히 플라스 틱으로 만들어지는 제품을 공급하려는 기업 이 계속 늘어날 것입니다"며, "이로써, 기업들 이 최대한 다양한 고객들을 확보하면서도 포장재 사업 전반에 걸쳐 탄소배출량을 현 저히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고 말했다. ◆ 

Related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