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십 혁신

가상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근무 경험 보강

Elly Yates-Roberts
16 June 2021

교수와 고용주가 학생들을 직접 대면하지 못할 때는 어떻게 인턴십을 제공할 수 있을까요?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대면 교육이 어려워지면서 교육 기관과 기업들은 인턴십 모델을 재고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되었습니다. Compass에서는 가상 학습이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가상 수업을 할 때도 대면 수업과 동일한 등록금을 내야 하는지 여부를 포함해 가상 학습으로 인해 제기되는 새로운 문제들을 살펴봅니다.

원격 학습의 역사는 18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런던 대학은 "외부 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공부를 하고 우편으로 시험을 치르게 하는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그러나 2020년 초반에 코로나 팬데믹이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원격 학습이 대부분 온라인으로 전환되었고 새로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온라인 학습 시 개인적 접촉이 어렵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지만, 가상 경험은 실제로 인턴십의 여러 단점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Sirin Tekinay, 아랍 에미레이트 연합의 샤르자 아메리칸 대학교 공과 대학 학장 겸 GEDC(Global Engineering Deans Council) 의장 (이미지 저작권: Sirin Tekinay)

아랍 에미레이트 연합의 샤르자 아메리칸 대학교 공과 대학 학장인 Sirin Tekinay는 "대학들은 점차 온라인을 통해 지식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녀는 GEDC(Global Engineering Deans Council) 의장을 맡으면서 전 세계 트렌드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교육용 프로그램을 혁신하여 대학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인디애나 주 퍼듀 대학의 공학 교육 대학원(School of Engineering Education)에서 실시한 연구 조사에 따르면 공학 전공 학부생들은 원격 학습 경험이 "온라인 강의에 적응하고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법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경험 덕분에 적응력을 높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오하이오 주립대 공학 교육 대학 부교수이자 퍼듀 대학 연구 조사에 참여한 Julie Martin은 "일명 '소프트 스킬'이라고 불리던 전문 스킬은 엔지니어에게 매우 중요합니다"라고 말합니다. "학생들에게 자택 대기 명령이 내려지면서 많은 학생들이 시차가 서로 다른 미국 및 세계 여러 국가로 흩어지게 되었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 팀이 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실제 공학 프로젝트에서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일입니다."

Julie Martin, 오하이오 주립대 공학 교육 대학 부교수 (이미지 저작권: Julie Martin)

필요는 혁신의 어머니

완전히 이론적인 과정도 있지만, 랩 기반의 연구에 집중하는 과정도 있습니다. 실습 경험의 중요성은 특히 인턴십 과정에서 드러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과 교육계는 3D 제품 모델이나 인공 지능 같은 가상 기술을 활용하여 원격 인턴십을 진행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상 기술에 대한 액세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사용 중이며, 학생들이 애플리케이션과 프로세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인턴십의 가치를 크게 높일 것이라고 교육 기관들은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portLinker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5년이면 전 세계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시장의 규모가 194억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GrandView Research는 2025년까지 3D 설계 소프트웨어 시장에서만 그 규모가 130억 달러(107억 유로)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이는 취업 준비가 필요한 학생들이 빠른 속도로 선택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팬데믹 발생 4개월째였던 2020년 5월부터 GEDC와 유럽 SEFI(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는 GEDC의 기업 및 캠퍼스 내 멤버에게 제공되는 온라인 인턴십 과정에 학생들이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글로벌 가상 인턴십 프로그램'을 개시했습니다.

Tekinay는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는 가상 제공 전략에 적응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온라인 강좌와 기술 사용에 있어 기존의 인턴십보다 실질적인 이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 해 동안에 교수법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었고, 인턴십과 같은 경험적 학습 기회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GEDC의 목표는 전 세계 공학도들에게 팬데믹 상황에도 불구하고 가상 인턴십을 밟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Hugo Kieffer,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ingénieurs de Caen 원자력 공학부 학생(사진 저작권: Hugo Keiffer)

프랑스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ingénieurs de Caen의 원자력 공학부 학생인 Hugo Kieffer는 여름에 프라하 체코 공과대학교의 원자로 공학부에서 원격 인턴 과정을 밟았습니다. 8주의 인턴 과정 동안 우라늄 연료에 관한 연구에 참여하고, Python 코딩을 공부하며, 새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했습니다.

Kieffer는 "사회적 상호 작용 측면에서 일반적인 인턴십 과정과는 확연히 달랐습니다. 1주일에 한 번 회의에 참여해서 진행 상황을 보고하고 프로젝트의 다음 단계를 논의하기만 하면 됐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동료 및 선임들과의 개인적인 교류에 한계가 있기는 했지만, 유익한 경험이었다고 합니다.

“원격 인턴십의 특성상 특정 작업만 수행할 수 있었지만, 핵 연료의 생산 방식과 관련된 랩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원격으로 인턴십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관련 업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ekinay는 가상 인턴십이 정착된다면 오프라인 인턴십보다 귀중한 경험이 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샤르자 아메리칸 대학교에 있는 Tekinay의 연구소는 미국, 인도 및 칠레에서 온 학생들에게 가상 인턴십을 제공하였습니다. 인턴십 과정 동안 학생들은 설문 조사 주제를 연구하고, 프레젠테이션을 만들며, 실험 과정을 관찰하고, 결과를 수집했습니다.

"대면 인턴십이었다면 여러 가지 경제적/시간적 여건으로 인해 우리 같은 생체공학 랩에서 이러한 기회를 제공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가상 인턴십은 전 세계 공학도들에게 갖가지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었고, 글로벌 커뮤니티의 일원이라는 소속감을 느끼게 해줬습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매일 명확한 임무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인턴들이 프로젝트 팀의 진정한 일원이 되었다고 Tekinay는 강조합니다. “인턴들은 파일 정리나 커피 심부름 같은 허드렛일을 할 필요가 전혀 없었습니다. 그 결과, 프로젝트에서 실질적인 가치와 통찰력을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학생이자 프랑스 공학도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 BNEI(Bureau Nationale des Élèves Ingénieurs)의 회장인 Julien Doche는 "항상, 반드시 원격 학습을 하자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 보다는 교육의 발전과 사회/경제적 사건에 교육을 적용하는 활동을 잘 조율하고, 대학 교육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비용 논쟁

가상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비용 문제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교육 리서치 기관인 Niche가 최근 실시간 조사에 따르면 총 응답 학생 중 79%가 가상 수업이나 혼합 방식의 수업은 접촉 시간이 적고 캠퍼스 내에서의 상호 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전통적인 대면 수업에 비해 수업료가 낮아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오하이오 주립대의 Martin 교수는 "이것은 까다로운 문제입니다. 온라인 수업이라고 해서 대학이 부담하는 비용이 더 적은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대면 수업을 할 때보다 온라인 수업이 자료를 준비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교수 입장에서 이런 논쟁을 듣다 보면 일은 더 많이 하면서 돈은 적게 받으라는 소리가 아닌지 의구심이 듭니다. 뿐만 아니라 팬데믹으로 인해 예산이 크게 삭감되면서 대학들은 강사 해고에 나섰고, 이로 인해 남아 있는 교수들이 소화해야 할 수업량이 평소보다 늘어나고 있습니다.

원격 학습과 관련 비용에 대한 입장은 국가마다 다릅니다. Doche는 프랑스 전역의 많은 공학도들이 기존의 등록금과 동일한 액수를 지불하는 것에 대해 불만이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프랑스에 있는 대다수의 공과대가 공립입니다. 1년에 600유로[미화 725달러] 정도만 비용을 부담하면 되기 때문에 다른 국가의 대학만큼 등록금이 비싸지 않습니다. 만약 등록금을 많이 내고 있었다면 입장이 전혀 달랐을 것입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대학 등록금 문제는 항상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입니다. 한편, 가상 인턴십은 불필요한 잡무를 없애고 학생들에게 글로벌 팀원이 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미 그 가치가 입증되고 있습니다. 교육 기관들이 학생들에게 고급 공학 기술과 글로벌 팀원이 되는 경험을 제공하는 등 가상 학습에 훨씬 더 많은 가치를 더하는 방법을 모색한다면 비용 지불에 대한 거리낌이 줄어들 것입니다.

3DEXPERIENCE Edu Hub에 대해 알아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Related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