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 기업들의 경우 새로운 아이디어 로 주목받아야 하기 때문에 그야말 로 혁신 의지가 아주 강하다. 그러 나 시간과 성장이 거듭되면서 초기의 열정 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기 일쑤다. 그렇다 면 지금부터 이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추 천하는 활발한 혁신 문화를 조성하는 비결 을 살펴 보자.
기회를 분석하라
모든 회사는 다르다. 진정한 혁신을 실현하 려면 가능성이 있는 분야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미국의 전문 경영 컨설팅 업체인 코터 인터 내셔널(Kotter International)의 대표인 지미 레퍼트(Jimmy Leppert)와 경영진은 그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고위 간부들을 만날 때마다 입버릇처럼 묻는다. "모든 직원이 핵 심 비즈니스 전략을 이행하는데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만든 비결은 무엇인가?"
레퍼트는 "혁신은 변화의 속도와 밀접한 관 련이 있다. 빠르게 움직이는 세상에서 혁신 은 우리가 하는 모든 일에 적용되는 단어가 됐다. 혁신은 곧 비용을 절약할 지름길이자, 인재를 관리하는 비결인 동시에 과거 자사 가 실행했던 방법이나 심지어 과거에 업계 가 실행했던 방법과 사뭇 다른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기회를 파악하고 그에 걸맞은 행동을 취한다면 혁 신은 시간문제일 뿐이다"라고 말했다.
기업의 사내 혁신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글 로벌 업체인 ?What If! Innovation의 동업자 인 바트 히긴스(Bart Higgins)는 혁신으로 달성하려는 목표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 요하다고 충고했다. "어떤 혁신을 실현해야 하는지 고민하는데 미리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거시적인 혁신 여정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도 있다. 적절한 질문 을 던지고 명확한 혁신 계획을 수립하면 필 요한 수준의 혁신을 실현하는데 정확히 필 요한 만큼의 노력만 기울이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뉴욕의 스타인웨이 앤 선스 (Steinway & Sons)라는 피아노 제조업체는 ?What If! Innovation과 손잡고 유명 피아니 스트들의 라이브 공연을 그대로 재현하는 고성능 자동 연주 피아노인 스피리오(Spirio) 를 출시했다.
“ 혁신 생태계의 모든 핵심 요소들은 혁신에 대한 열정을 중요하게 여기고, 혁신을 주도하며 장려하는 경영진의 지원을 중심으로 생겨난다. ”
바트 히긴스(Bart Higgins)
?What If! Innovation 동업자
히긴스는 이렇게 말했다. "혁신의 궁극적 목 표는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동 연주 피아노라는 새로운 시장을 중심으 로 비즈니스 사고를 재정립하는데 있었다. 혁 신을 하나의 절차로 활용함으로써 스타인웨 이 앤드 선스는 신기술이 정확히 얼마나 큰 가치가 있고 신제품이 소비자의 마음 속에 어떻게 기억돼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위계 질서를 경계하라
일부 기업은 성장하면서 더 전문적이 되려고 애쓰는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계급을 나누는 벽이 늘어나면서 위화감이 조성되는 데, 관리자와 아이디어를 짜내는 직원 간의 거리감이 너무 큰 경우 혁신은 요원해 진다.
레퍼트는 "기업이 사세를 확장하게 되면 관 리자의 수가 늘어난다. 모든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고 성장을 도모하려는 기업이라면 혁 신과 직원 관리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 하고 계급 간 위화감을 해소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위계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논의하거나 실 천에 옮기는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과 거의 혁신 문화를 되찾으려는 기업은 모든 계급의 직원들이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토론 할 수 있도록 반드시 이런 장애물을 제거해 야 한다.
다임러(Daimler)의 최고환경책임자 겸 GRS(Group Research and Sustainability) 담당 부사장인 안케 클라인슈미트(Anke Kleinschmit)는 "대부분의 신생 회사와 일반 기업이 훌륭한 아이디어와 개척 정신을 가 지고 있다. 혁신을 원하는 기업이라면 아이 디어와 개척 정신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라고 말했다.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라
혁신이 만개하는 조직이 되려면 직원들이 혁신에 적극 동참하고 혁신을 지원하는 환 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히긴스는 "혁신 생태계의 모든 핵심 요소들 은 혁신에 대한 열정을 중요하게 여기고, 혁 신을 주도하며 장려하는 경영진의 지원을 중심으로 생겨난다. 기업은 혁신을 '실행'하 는데 필요한 도구와 프로세스, 혁신의 '길잡 이' 역할을 하는 관리 구조와 계획, 혁신을 '뒷받침' 할 성과 목표와 지식, 그리고 팀이 혁신을 '주도' 하는데 필요한 행동 및 협력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적합한 기술을 수용하라
사물인터넷(IoT) 같은 현대식 기술과 개념의 등장으로 유례없이 수월하고 효과적으로 데 이터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게 됐다.
보스턴에 본사를 둔 글로벌 비즈니스 컨설 팅 업체인 보스턴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BCG)의 사장 겸 전무이 사인 마이클 링겔(Michael Ringel)은 "신기술 을 이해하고 그 기술이 회사에 어떻게 도움 이 될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존재하는 기술을 각자의 비즈니스 상황에 맞게 응용할 방법을 슬기롭게 연구하면 혁 신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세계 굴지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 제공업 체인 ARM의 글로벌 마케팅 및 전략적 제휴 담당 부사장인 이안 퍼거슨(Ian Ferguson) 은 그와 같은 기술이 등장하면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대폭 감소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과 인 프라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기에 충분할 정도로 기술 구현 비용이 저렴해지고 무선 통신 기술이 보편화 됐다. 현재로서는 그 정도만 으로도 괄목할 만한 성장이라고 볼 수 있 다."
기술 접점이 크게 증가하자 정보 수집 및 전 송 시스템을 배치한 기업들은 자사의 비즈 니스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확보할 수 있 게 되었고 이렇게 확보한 통찰력 덕분에 경 영진이 한결 수월하게 탄력적이고 혁신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위 험을 감수하라
이제 시작하라
기회를 분석하라. 위계 질서를 경계하라. 혁 신 분위기를 조성하라. 적합한 기술을 수용 하라.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위험을 감수 하라.
성장 중인 기업은 이러한 5가지 혁신 전략 을 실천에 옮기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요소들을 최대 관심사로 삼고 전 사적으로 이를 장려한다면 자사를 탄생시킨 원동력이었던 혁신에 대한 열정을 되찾을 수 있는 기반은 일단 마련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