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는 2개의 주요 공정-제품 제조법 에 대한 계획 수립 단계와 계획 이 행 단계-을 거친다. 굴지의 제조 업체들은 이미 이러한 2개 공정에 몰입형 가상현실(iV)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다쏘시스템의 몰입형 가상현실(iV) 담당 이 사이자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가상현실 전문가인 데이비드 나혼(David Nahon)은 "자동차와 항공기 제조사들은 제품 설계뿐만 아니라 공장 및 작업장의 공정 설계에도 CAVE를 도입하고 있다. 설계 단계에서부터 제품 제조가 얼마나 수월한지 또는 실제 제 조가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활용하는 몰입형 가상현실(iV)의 비중은 매우 크다. 일 찌감치 디자인 프로세스에서부터 이러한 문 제들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비용을 발생시키는 실수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라고 말했다.
“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하면 모니터링 데이터의 오류뿐 아니라 인간으로 인한 실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리오넬 주시멧(Lionnel Joussemet)
디오타 공동 창립자
협업을 통한 최상의 품질 유지
몰입형 가상현실(iV)을 이용하면 실물 크기 의 3D 모델을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설계 및 관련 제조 공정에 존재하는 문제를 찾아내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민간 항공기, 군용 항공기, 전용기의 시장 점유율 세계 3위를 자랑하는 항공기 제조업체인 브 라질의 엠브라에르(Embraer)가 제품 설계 공정에 이어 제조 공정 검토 환경에 몰입 기 술을 도입한 것도 그 때문이다.
플로리다에 위치한 엠브라에르의 엔지니어링 및 기술센터 전무이사인 파울로 피레(Paulo Pires)는 "모든 생산 공정 계획 및 시뮬레이 션용 디지털 팩토리를 개발하는데 가상현실 (VR)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엠브라에르가 새로 구현한 혼합현실(MR) 공 정에서는 최대 12명의 인력이 동시에 설계 모델을 확인하면서 의견을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에 돌입하기 훨씬 전에 제조 전 문가들이 설계 및 공학 전문가들과 함께 모 델을 검토하고 문제를 파악한 후 협의를 통 해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을 도출하기가 한 결 수월하다.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조 립 작업 능률 개선
제조가 시작되면 생산현장 근로자들이 증강현실(AR)을 이용하여 맡은 작업을 더욱 빠 르고 정확하게 완료할 수 있다. 자동차, 항공 우주, 정유, 화학 산업용 AR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프랑스의 디오타(Diota)는 2010년 제조 산업으로 시장을 확충했다.
“ 모든 생산 공정 계획 및 시뮬레이션용 디지털 팩토리를 개발하는데 가상현실(VR)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
리오넬 주시멧(Lionnel Joussemet)
디오타 공동 창립자
디오타의 공동 창립자인 리오넬 주시멧 (Lionnel Joussemet)은 이렇게 말했다. "오 늘날 많은 공장에서는 근로자들이 다수의 작업 설명서를 참조하면서 맡은 작업을 수 행한다. 예를 들어, 항공기 제조 공장의 근로 자들은 적합한 작업 설명서를 찾은 후 그 내 용을 이해해야 할 뿐 아니라 작업 설명서에 적혀 있는 모든 공정을 숙지해야 한다. 그런 데 이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디오타의 소프트웨어는 PLM 시스템을 비롯 한 제조업체의 산업용 정보 시스템을 검색 해서 제품 설계 과정에서 작성된 조립 방법 을 찾아낸 후 근로자에게 그와 동일한 방법 으로 작업하도록 유도한다.
주시멧은 "패널을 조립하려면 근로자가 양손 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작업 설명서를 손에 들고 있을 수 없기 때문에 과거에는 매직 펜으로 조립품에 설 명서 내용을 그대로 써넣는 경우가 일반적 이었다. 그로 인해 많은 시간이 낭비되고 실 수가 발생할 소지도 많았던 것이다"라고 설 명했다.
디오타의 AR 솔루션을 이용하면 AR 안경을 착용한 공장 근로자들이 조립품을 바라봤을 때 눈앞에 재생되거나 조립품에 직접 투사 되는 조립설명서를 보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덕분에 근로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해야 하 는지 즉시 이해해서 작업을 완료하는데 걸 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작업을 완료할 때마다 다음 진행해야 할 작업 내용 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손쉬운 품질 관리
조립 작업이 완료되면 품질 검사 담당자가 종이 서류 대신 태블릿을 이용하여 제품의 품질을 검사한다. "증강현실 기술을 도입하 면 품질 검사 담당자가 태블릿으로 조립된 제품을 설계도대로 제작된 디지털 모델과 비교하면서 조립품을 검사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작업 방식에서는 차이점을 대단히 빠 르게 찾아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주시멧은 또 이렇게 말했다.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하면 모니터링 데이터의 오류뿐 아니라 인간으로 인한 실수가 감소하는 것 으로 확인됐다. 증강현실(AR)의 신뢰성이 검 증된 셈이니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자신 있게 권하고 싶다."
공장에서 AR이 어떻게 응용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http://3ds.one/ARWorkInstru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