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umer goods & retail

안성맞춤

Sean Dudley
18 January 2017

많은 신발 디자이너가 3D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시제품을 실험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시각화하는데, 이기술을제조및생산과 같은 산업의 다른 부분에서 사용할수있는방법에 더많은관심이쏠리고있다.

자신의발사진을몇장찍어서웹사 이트에 업로드하면 며칠 뒤에 자신 의발모양에딱맞춰특별히디자 인된신발을택배로받을수있다고상상해 보라.3D인쇄기술이이런상상을현실로 만들고 있다.

3D 인쇄 공정에는 3D 디지털 모델과 일치하 는 신발을 만들기 위해 재료를 한겹씩 쌓아 올리는 컴퓨터 제어 방식으로 3차원 개체를 만드는 작업이 수반된다. 적층 가공으로도 불리는 이 제조 방식은 흥미진진한 시제품 제작이나 새 아이디어 실험 같은 신발 산업 의 디자인 공정에 널리 도입됐지만 아직까 지는 제조에 응용되지 않았다.

영국에 본사를 둔 3D 인쇄 방식 고급 신발 브랜드인 슈즈 바이 브라이언(Shoes By Bryan)의 창립자이자 디자이너인 브라이언 옥난스키(Bryan Oknyansky)는 3D 인쇄 기 술이 "수백 년간 유지되어 온 신발 디자인과 제조 공정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옥난스키는 이렇게 말했다. "사내에서 시제 품을 제작하고 고객이 비용을 지불하면 신 발을만들수있으므로사실상산업폐기물 이 발생하지 않는다. 심지어 고객이 원하는 경우 비용을 추가로 부과하지 않고도 신발 의형태를변경할수도있다.내가호기심 많고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디자이너가 될수있었던것도모두3D인쇄기술덕분 이다.상상하는모든것을만들수있기때 문이다."

Shoes By Bryan의 헤비메탈(Heavy Metal) 시리즈를 제작하는데 3D 인쇄 기술이 사용됐다. (사진 제공 : Shoes by Bryan)

주문 제작으로 완벽한 신발 제작

뉴욕에 본사를 두고 사용자가 신발 보조물 을맞춤설계하고구매할수있는소프트웨 어 플랫폼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 는 SOLS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케건 슈웬버그(Kegan Schouwenburg)는 신발 산 업의경우,이미한참전에주문제작방식 을 도입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슈웬버그는 이렇게 말했다. "신발의 특성상 주문 제작 방식이 보편화되어야 마땅한 데 도그렇게되지못했다.나는신발디자인이 말로 디지털 인쇄 및 제조 방식의 잠재력과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분야라고 생 각한다."

신발산업의전통적인제조방법이안고있 는 단점으로는 과다 생산과 불완전성의 가 능성, 특히 착용감이 미흡할 가능성을 꼽을 수있는데,3D제조방식은유례없는 수준 의맞춤제작을실현하는동시에이와 같은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다.

3D인쇄와대량생산

신발디자이너가3D인쇄를이용한주문제 작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오늘날의 기 술수준을고려했을때신발산업이모든제 조 공정을 적층 가공 방식으로 대체하는 것 은 아직 시기상조다.

온라인신발평가및정보온라인웹사이트 Solereview.com의 창립자인 라울 시(Rahul Cee)는 이렇게 말했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 서3D인쇄기술로제품을대량생산하려면 많은 어려움을 감수해야 한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3D인쇄는공정자체가매우느리 기 때문이다. 앞으로 3D 기계의 비용과 관련 비용이 계속 하락하겠지만 공정 자체가 바 뀌는것은아니다.내생각에는3D인쇄에 익숙한 '중개인', 즉 신발 디자이너나 제조업 체를이용하는편이주문제작방식을도입 하는 최상의 전략으로 보인다."

유명기업들은이미오래전부터시제품제 작과주문제작에3D인쇄기술을사용해 왔지만3D인쇄기술의고질적인단점때문 에 좀더 광범위한 사용이 어렵다고 라울은 지적한다.

"3D 인쇄 방식이 전통적인 대량 생산 방식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 같다.ᄒ그래도 신발 디 자인에현재사용되고있는3D인쇄기술이 시제품 제작과 주문 제작을 넘어 발전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슈웬버그도3D인쇄기술의또다른단점을 지적했다.

"원한다면 3D 인쇄 기술로 신발의 중창을 제 조할 수 있지만 문제는 가격이 비싸진다는 데 있다. 3D 프린터로는 대량 생산이 어렵다 는문제도있다.실제로업계사람들이이 기술을 평가할 때 흔히 지적하는 문제이기 도하다.특별한제품하나를만드는것은 매우쉽지만특별한제품백만개를제조하 는것은아주어려운일이다.새로운기술을 사용한다면 더더욱 그렇다."

결국은 완벽한 착용감

그럼에도 슈웬버그는 많은 사람들이 주문 제작으로 얻는 이점을 신발의 가격 상승보 다 중요하게 여긴다고 생각한다.

"해답을 찾으려면 새로운 문제의 양상을 정 확히 파악하고 제품 비용과 사용자가 누리는 궁극적 가치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규정할 방 법을 연구해야 한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찾기 어려운 사람들에 게 최고의 가치는 드디어 제대로 맞는 신발 한 켤레를 갖게 되는 것이다. 최근 SOLS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제품 구매자 중 63%가 발에맞지않는신발을신고있다고답했다.

슈웬버그는 또 이렇게 말했다. "SOLS는 이 런문제를해결하고정말쉽게모바일스캔 을실시할수있는새로운제품을개발중이 다. 개발에 성공한다면 단기적으로는 착용감 을중심으로한가치를,좀더장기적으로는 기업이핵심역량의일환으로대량주문제 작방식을도입하기한결쉽게만들수있는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Related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