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발사진을몇장찍어서웹사 이트에 업로드하면 며칠 뒤에 자신 의발모양에딱맞춰특별히디자 인된신발을택배로받을수있다고상상해 보라.3D인쇄기술이이런상상을현실로 만들고 있다.
3D 인쇄 공정에는 3D 디지털 모델과 일치하 는 신발을 만들기 위해 재료를 한겹씩 쌓아 올리는 컴퓨터 제어 방식으로 3차원 개체를 만드는 작업이 수반된다. 적층 가공으로도 불리는 이 제조 방식은 흥미진진한 시제품 제작이나 새 아이디어 실험 같은 신발 산업 의 디자인 공정에 널리 도입됐지만 아직까 지는 제조에 응용되지 않았다.
영국에 본사를 둔 3D 인쇄 방식 고급 신발 브랜드인 슈즈 바이 브라이언(Shoes By Bryan)의 창립자이자 디자이너인 브라이언 옥난스키(Bryan Oknyansky)는 3D 인쇄 기 술이 "수백 년간 유지되어 온 신발 디자인과 제조 공정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옥난스키는 이렇게 말했다. "사내에서 시제 품을 제작하고 고객이 비용을 지불하면 신 발을만들수있으므로사실상산업폐기물 이 발생하지 않는다. 심지어 고객이 원하는 경우 비용을 추가로 부과하지 않고도 신발 의형태를변경할수도있다.내가호기심 많고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디자이너가 될수있었던것도모두3D인쇄기술덕분 이다.상상하는모든것을만들수있기때 문이다."
주문 제작으로 완벽한 신발 제작
신발산업의전통적인제조방법이안고있 는 단점으로는 과다 생산과 불완전성의 가 능성, 특히 착용감이 미흡할 가능성을 꼽을 수있는데,3D제조방식은유례없는 수준 의맞춤제작을실현하는동시에이와 같은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다.
3D인쇄와대량생산
신발디자이너가3D인쇄를이용한주문제 작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오늘날의 기 술수준을고려했을때신발산업이모든제 조 공정을 적층 가공 방식으로 대체하는 것 은 아직 시기상조다.
온라인신발평가및정보온라인웹사이트 Solereview.com의 창립자인 라울 시(Rahul Cee)는 이렇게 말했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 서3D인쇄기술로제품을대량생산하려면 많은 어려움을 감수해야 한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3D인쇄는공정자체가매우느리 기 때문이다. 앞으로 3D 기계의 비용과 관련 비용이 계속 하락하겠지만 공정 자체가 바 뀌는것은아니다.내생각에는3D인쇄에 익숙한 '중개인', 즉 신발 디자이너나 제조업 체를이용하는편이주문제작방식을도입 하는 최상의 전략으로 보인다."
유명기업들은이미오래전부터시제품제 작과주문제작에3D인쇄기술을사용해 왔지만3D인쇄기술의고질적인단점때문 에 좀더 광범위한 사용이 어렵다고 라울은 지적한다.
"3D 인쇄 방식이 전통적인 대량 생산 방식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 같다.ᄒ그래도 신발 디 자인에현재사용되고있는3D인쇄기술이 시제품 제작과 주문 제작을 넘어 발전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슈웬버그도3D인쇄기술의또다른단점을 지적했다.
"원한다면 3D 인쇄 기술로 신발의 중창을 제 조할 수 있지만 문제는 가격이 비싸진다는 데 있다. 3D 프린터로는 대량 생산이 어렵다 는문제도있다.실제로업계사람들이이 기술을 평가할 때 흔히 지적하는 문제이기 도하다.특별한제품하나를만드는것은 매우쉽지만특별한제품백만개를제조하 는것은아주어려운일이다.새로운기술을 사용한다면 더더욱 그렇다."
결국은 완벽한 착용감
그럼에도 슈웬버그는 많은 사람들이 주문 제작으로 얻는 이점을 신발의 가격 상승보 다 중요하게 여긴다고 생각한다.
"해답을 찾으려면 새로운 문제의 양상을 정 확히 파악하고 제품 비용과 사용자가 누리는 궁극적 가치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규정할 방 법을 연구해야 한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찾기 어려운 사람들에 게 최고의 가치는 드디어 제대로 맞는 신발 한 켤레를 갖게 되는 것이다. 최근 SOLS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제품 구매자 중 63%가 발에맞지않는신발을신고있다고답했다.
슈웬버그는 또 이렇게 말했다. "SOLS는 이 런문제를해결하고정말쉽게모바일스캔 을실시할수있는새로운제품을개발중이 다. 개발에 성공한다면 단기적으로는 착용감 을중심으로한가치를,좀더장기적으로는 기업이핵심역량의일환으로대량주문제 작방식을도입하기한결쉽게만들수있는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