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화폐라는 개념, 즉 각국의 조폐국이 아니라 컴퓨터가 만들어낸 돈이라는 개념은 언뜻 보기에는 그럴싸해 보인다. 기존의 국제 통화 거래에는 상당한 수수료가 붙지만 이와 같은 '가상 화폐'는 사실상 아무런 비용 없이 세계 어느 곳에서나 유통될 수 있다. 가상 화폐는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환율에 대한 통제를 받지 않고 초인플레이션이나 갑작스런 평가 절하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상과는 사뭇 다르다. 마약 거래나 거래소 파산 같은 문제는 가상 화폐의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을 위협한다.
전 세계적으로 거래되고 있는 75개 이상의 가상 화폐는 그 가치가 11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가장 대규모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고 전체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의 가치는 100억 달러에 육박한다. 비트코인과 경쟁하는 가상 화폐로는 라이트코인(litecoin), 도그e코인(dogecoin), XRP 등이 있다.
가상 화폐는 이것을 이용하여 상품과 서비스, 그리고 국가에서 발행하는 화폐와 교환하려는 사람들의 의지에 따라 가치가 형성된다. 각국 정부들이 자체 보유하고 있는 금으로 자국 화폐를 교환해주지 않기로 결정한 1971년 이후부터는 이러한 '신뢰하고자 하는 의지'가 기존 화폐에 가치를 부여해 왔다. 가상 화폐에 대한 대중의 신뢰는 각국 정부가 발행한 화폐, 신용카드, 온라인 은행 거래에 대한 신뢰만큼 공고하지는 않지만 가상 화폐를 수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을 보면 어느 정도의 신뢰는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억 6,000만 달러
비트코인 거래소인 Mt. Gox는 파산을 선언했다. 해킹으로 4억6,00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가상 화폐의 역사
시티뱅크의 G10 외환 전략 부문 글로벌 이사인 스티븐 잉글랜더(Steven Englander)는 2008년 기존 화폐의 가치가 휘청거렸던 금융 위기 당시에 비트코인 사용이 처음 시작된 것에 주목하고 있다. 그는 "완벽하지는 않겠지만, 아르헨티나나 베네수엘라처럼 초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국가라면 비트코인만큼 좋은 화폐도 없을 것입니다. 물론 정상적인 경우라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
기업의 경우에는 가상 화폐의 거래 비용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는 것이 매력적일 수 있다. 가상 화폐에는 마스터카드나 비자카드가 소매 거래에 부과되는 3%-5%의 수수료가 붙지 않는다. 또한 비트코인으로 사기 행각을 벌인다 해도 사실상 보상할 책임도 없다.
런던에서 비트코인 투자자문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자비에르 마르티(Javier Marti)는 거래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이점은 B2B 거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마르티의 고객 중 한 명은 최근 25센트의 수수료를 내고 영국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100만 달러를 송금했는데, 기존 은행을 이용했다면 수수료는 200달러에 달했을 것이다.
해커와 밀수업자
비트코인은 거래를 감독하는 중앙청산소의 필요성이 없도록 설계되었다. 대신, 발행 당일부터 모든 거래 내역이 전자 거래 대장에 기록된다. "Miner"로 알려진 컴퓨터 전문가에 의해 새로운 거래가 인증되고 업데이트되면 이들의 노고에 대한 보상으로 새로운 비트코인이 만들어지면서 화폐 가치의 투명성이 유지된다.
Miner가 될 만큼 컴퓨터 기술을 보유하지 못한 사람들은 중국, 일본, 그리고 슬로베니아에 이르는 다양한 곳에서 운영되고 있는 온라인 거래소를 통해 비트코인을 구입할 수 있다. 비트코인을 발행하는 자동화기계도 곧 선보일 예정이다. 비트코인은 가상 "지갑"으로 이체되면 이것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윌리엄스(Williams)는 기본적으로 전체 비트코인의 29%는 최초 "Miner"인 47명이, 50%는 800명이 소유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현실은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치솟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 비트코인이 전자상거래의 주요 결제수단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데이비드 우(DAVID WOO)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 린치(BANK OF AMERICA MERRILL LYNCH) 글로벌 통화 및 환율 연구소장
비트코인은 익명으로 거래되고 판매되기 때문에 범죄의 온상이 되기 쉽다. 최근에는 두 건의 체포 사례로 비트코인의 어두운 면이 부각되었다. 2014년 1월, 미국 당국은 비영리 교육단체인 비트코인 재단 이사인 24세의
기업가 찰스 슈렘(Charles Shrem)을 돈세탁 혐의로 기소했다. 2013년 10월에는 29세의 로스 울브리히트(Ross Ulbricht)가 Silk Road라는 온라인 마약거래 사이트의 배후로 지목되어 마약 및 돈세탁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러한 와중에 중국이 비트코인 거래소에 대해 단속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비트코인의 가치는 급락했다. 러시아와 베트남에서도 비트코인 거래를 불법화했다.
가상 화폐의 미래
마르티는 새로운 화폐의 부침은 해당 통화의 진짜 가치를 시장에서 결정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지적한다. 마르티는 비트코인이 최근 들어 어려움을 겪고는 있지만 부동산과 고가 예술품을 비트코인으로 거래하는 자신의 사업은 '매우 빠르게 확장 중'이라고 말했다. 비트코인을 받아주는 온라인 소매점의 수 또한 증가 추세에 있고 영국 잉글랜드 북서부에 위치한 컴브리아대학교에서는 비트코인으로 수업료를 낼 수 있도록 했다.
미국 정부는 가상 화폐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사실 새로 취임한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인 자넷 옐런(Janet Yellen)은 미 의회에서 가상 화폐는 본인의 관심사 밖의 일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다른 국가의 정부 규제 기관들이 이러한 입장을 따른다면 예상보다 일찍 가상 화폐가 폐기되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
- 찰스 월러스는 뉴욕에서 글로벌 금융에 대한 기사를 송고하는 해외 특파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 Jeff Garzik talks about bitcoin at TEDx: http://www.youtube.com/watch?v=vaPgfErzeu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