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커지는 기술 격차는 전 세계 기업들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지만, 첨단 기술 분야에서는 그렇지 않다. 많은 기업에서 더 큰 과제는 용접공, 보일러공, 조종사, 의료 기술자 등 고졸 이상 4년제 대학 미만의 "중간 기술"을 가진 인력들의 부족현상을 겪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워싱턴 DC에 본부를 둔 국가 기술 연합(NSC)은 일자리의 53%가 중간 기술 인력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이지만 미국 노동자의 43%만이 이 수준에서 훈련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수백만 명의 실업자나 미취업 대졸자들이 4년제 학위 취득을 추진하면서 상당한 학자금 대출을 받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백만 개의 일자리를 채우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그리고 이것은 단지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프랑스 투자은행 비프란스가 2018년 중소기업과 ETI에 대한 인재 유치라는 제목의 연구를 통해 프랑스 중견기업 10곳 중 9곳이 채용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전역, 일본, 인도 등 대부분의 산업화 된 국가들에서 비슷한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NSC 선임 연방정책분석관 Katie Spiker는 "이는 노동력 교육 및 교육에 대한 투자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귀결된다"라면서 "지난 20년간 노동력 개발 자금의 40%가 삭감됐다"고 말했다. 노동자와 기업에 꼭 필요한 투자를 하지 않으면 21세기 경제에서 경쟁할 수 없다."
캘리포니아 주 오렌지 코스트 칼리지(OCC)의 Daniel Shrader 기술학장은 중간 기술력 부족의 영향이 세계적인 문제라고 말한다. "당신이 영국에 있든 아프리카에 있든 미국에 있든 상관 없다,"라고 그는 말했다. "우리는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더 강하고, 더 실행 가능한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해 이러한 중간 기술이 필요하다."
프랑스 해양산업 종사자를 양성하는 Le Campus des Industries Navales의 Dominique Sennedot 소장은 매일 그 영향력을 느끼고 있다.
그는 "조선업계가 현재 상당한 기술력 부족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프랑스의 해군산업은 현재 약 4만 2천 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3년 안에 6천 개의 일자리를 더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는 자격을 갖춘 직원이 필요한 16개의 거래들을 확인한 바 있다. 여기에서 인재 부족문제가 일부 기업들로 하여금 계약을 꺼리게 하도록 만들고 있다.”
미국 서부 해안에 있는 워싱턴 주에서는, 에버렛 커뮤니티 칼리지의 항공우주 및 첨단 제조 센터 이사인 Mary Kaye Bredeson도 이와 같은 문제를 느끼고 있는데, 앞으로도 중간 기술직 근로자들이 계속 은퇴함에 따라 이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녀는 "앞으로 10년 안에 200만 개 이상의 미충원 일자리가 생길 것이다."라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는 부모와 교육자, 사회가 4년제 학위가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해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말로좋은중간기술직업들을수행할수있는좋은인재들이충분하지않습니다.”
JOSEPH FULLER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수
그러나 중간 기술직은 높은 비용 없이 수익성이 높고 4년제 대학 프로그램만큼 많은 진로를 제공할 수 있다고 그녀는 말했다. 그리고 역사학이나 사회학과는 달리 이러한 기술에 대한 수요는 높다. 예를 들어, 항공우주 분야에서는 "직장의 약 50%는 4년제 학위를 필요로 하고, 직업의 50%는 기술자를 필요로 한다."라고 설명했다.
Bredeson은 "그러니까 점점 더 많은 전문 기관들이 이에 대해 경고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4년제 대학의 학위 프로그램은 많은 고용주들이 필요로 하는 실제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중간 기술 교육 문제를 연구한 하버드 경영 대학원의 조셉 풀러 교수가 말했다. 이러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기술 학교 및 지역 대학들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들은 자금 부족과 그들이 가르치는 프로그램과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들 사이에 불일치를 야기하는 정부가 제시하는 의무사항들로 힘들어 하고 있다.
Fuller는 "도제 작업과 같은 실무 학습의 기회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는 기업이 고용할 수 있는 일꾼들이 대부분 기업이 필요한 기술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중간 기술을 연마한 양질의 인력이 충분하지 않아 고통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는 "기술 훈련 및 재교육을 위한 연간 지원금이 현저히 적으며 고용주들이 그러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예산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한편, 기술은 발전하고,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어 중간 기술 노동자들의 훈련 비용을 계속해서 증가시키고 있다.
Shrader는 "어느 기업이든 더 나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첨단 기술 및 장비를 도입하고 나면 이러한 중간 기술자들을 양성하기 위한 비용이 상당하게 증가한다. 하지만, 이러한 투자가 학생들에게 기술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식을 높이고, 더 나아가 중간 기술직 양성에 크게 도움이 된다”라고 설명한다.
이미 수십 년 동안 그러한 업무를 해 온 사람들이 노령화되면서 매년 그 격차는 더 커지고 있다. 프랑스 항공우주업체 safran의 Bertrand Delahaye 인력담당 부국장은 "항공우주방위산업에서 많은 직원들이 퇴직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 인식
점점 더 기업들은 교육기관들과 협력하여 중간 기술 훈련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학생들을 모집하여 첨단 기술을 사용하는 기업들의 현실에 대비하기 위한 인턴십을 제공하는 등 격차를 줄이기 위해 나서고 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 중 하나는 프랑스 제조업체, 견습 훈련 센터 및 전문 기관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만든 파리 근처의 훈련 시설인 CampusFab이다.
Delahaye는 "초기 훈련, 견습생, 현장 훈련을 통해 문제에 대한 대응을 제공하기 위해 캠퍼스팩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프랑스 주와 파리 지방 정부로부터 재정적인 지원을 받았다.
"그들이그들보다더나은사람이될수없기때문에, 우리가그거래의사람들을그거래에끌어들이는것은사실이야."
DOMINIQUE SENNEDOT
LE CAMPUS DES INDUSTRIES NAVALES의 디렉터
마찬가지로, Le Campus des Industries Navales는 산업이 필요로 하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서부 프랑스의 주요 기업가들과 협력하고 있
Sennedot는 "이곳은 기업가들과 교육자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을 찾을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되어, '고용 가능한' 학생들을 양성하기 위한 기술들을 통합하여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부 프랑스에 있는 잠수함 및 선박 노면을 설계 및 생산, 지원하는 기업인 Naval Group은 최근 보도 자료를 통해 2018년에 1,500명 이상의 직원을 새로 채용했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모멘텀은 계속될 것이며, 특히 해양 선박 산업의 직업 훈련 분야의 새로운 이니셔티브에 해당된다"고 말했다.
OCC의 Shrader는 CampusFab과 Industrial Navales의 이니셔티브는 고용주와 교육자들이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제조업이 공급망을 조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교육과정을 만드는 것도 기업과 학교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슈레이더 사장은 "스페이스X나 Northrop Grumman과 같은 1차 제조사가 요구하는 일부 부품은 2차 제공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공급받는 것"이라며, "이러한 2차 제공업체들에서는 대학이 배출해 낼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기계공과 도구공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기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가 3차 제공업체들이 되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구조는 학생들이 좀 더 지원받을 수 있는 교육환경에서 산업 특화된 부품들을 생산해 낼 수 있으면서도 대학이 재료비나 장비의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비용을 상쇄할 수 있도록 수익을 만들어내는데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2차 제조업체들은 학생들의 업무의 질을 평가하고 향상시킬 수 있어 교육을 개선할 수 있다. 기업들은 또한 경험과 직업 기회를 제공하는 인턴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식의 공급망으로 운영되면 지역대학에 재정을 지원하면서도, 교육 과정에 활력을 불어넣고, 중요한 산업 파트너들을 참여시킬 수 있게 된다."
항공우주 기업 보잉(Boeing)사가 주요 고용주인 미국의 워싱턴 주에서 Bredeson 은 기계와 전자 기술이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기술 인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그녀는 이 지역의 또 다른 유망 고용주인 아마존과 함께 방향을 잃은 학생들을 모집하기 위한 “우주항공을 선택하세요”라는 캠페인을 만드는 것을 도왔다.
그녀는 "이 워크숍들은 조종사가 될 수 있는 기회에 대해 이야기한다"라며, "많은 회사들은 직원들을 계속 고용해야 하기 때문에 학비를 제공함과 동시에 추가 훈련을 장려하거나 제공한다."라고 설명했다.
”많은 [커뮤니티] 대학들이이제AI나가상현실, 증강현실등의기술을사용한다. 이는배움을더현실적으로만든다.”
MARY KAYE BREDESON
EVERETT 커뮤니티 대학 우주항공 선진 제조를 위한 엑셀런스 센터의 이규제큐티브 디렉터
"우주항공을 선택하세요" 세미나에 참가한 학생들은 중간 기술 분야의 직업이 왜 그렇게 전망 있는지 금방 알게 된다. 근로자들은 첨단 기술 산업에 필수적인 첨단 기술을 사용하는 데 능숙 해야 하기 때문이다.
Bredeson은 "다른 파트너들의 도움으로, 많은 대학들이 현재 인공지능, 증강현실, 가상현실을 사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서는 비싼 인체모형보다는 아바타나 시뮬레이터를 이용해서 의료 간호사를 양성하며, 이는 배움을 더 현실화 시킨다. 마찬가지로, 나는 우리가 학생들을 위해 더 많은 가상 랩과 증강 현실을 교육에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학생들이 직장 밖에서 자신의 편의대로 할 수 있는 온라인 강좌도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하버드의 Fuller는 중간 기술 인력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려는 보잉의 접근 방식을 구현 가능한 글로벌 모델로 꼽는다.
Fuller 부사장은 " 보잉사가 떠오르는 기술력에 대한 준비가 되었는지를 확인할 때 보면, 특정 지역에서 그 기술 능력을 갖춘 보통 수천 명의 직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잉은 교육 기관 및 지역사회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중요한 기술이 꼭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의 데이터는 현장 실습의 기회가 인재들의 실무 능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강력히 확인시켜주고 있으며, 이는 교육 기관들과 고용주 간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협업이 가장 중요
Fuller는 기업들이 교육기관들과 협업하여 주문형 기술들을 파악하여 관련 교육 프로그램들을 개발하는 추세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말한다. “기업들만이 진정 원하는 것을 정의하고, 미래에 필요한 기술들을 예측할 수 있다.”
NSC 분석가인 Spiker는 이에 동의하며, 교육-비즈니스 파트너십은 기업이 전체 산업의 공유 목표와 요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고 덧붙였다.
그녀는 "그들은 기업들이 발전을 보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및 전문 대학들과 함께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또한 교육 제공자들이 업계 요구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커리큘럼을 가장 잘 맞추거나 개발하도록 돕는다."
또한 산학 협력은 기술이 발전하고 역할이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최신 상태의 기술을 교육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러한 공동체가 지역사회별로 발생할 때 가장 효과적이라고 슈레이더는 말했다.
Shrader는 "중등학교에서 대학을 거쳐 취업 기회에 이르는 교육 준비와 경로를 통합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입니다,"라고 말했다. "지역 학교들이 모두 협력하는 것이다. 로봇 공학, 가상 경험, 디지털 기술, 대학 투어 및 프로젝트를 통해 엔지니어링, 설계 및 제조 개념을 조기에 시작하는 것은 모두 기술 대학 훈련 프로그램과 산업 직업 기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적성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이러한 조기 교육은 지역사회 대학들이 더 진보되고 견고한 커리큘럼을 제공하도록 허용하여, 학생들이 더 높은 수준의 공부나 산업 또는 기업가적 활동에 더 잘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매우 비용 효율적이며 지역 개발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우리의 교육적 측면에서 글로벌 하게 사고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는 것과 동등한 것이다."
워싱턴 주의 산업 파트너와 34개 지역사회 대학 사이의 접촉점 역할을 하는 Bredeson 또한 이에 동의한다. "산업이 왜 개별 대학들에게 각 학교의 기계과 커리큘럼이 현업에 대비할 수 있도록 충분하지 않은지에 대해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가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ACUM이라고 부르는 것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논의가 용이해짐에 따라, 산학 모두 의사소통을 분명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설명했다.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전부터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Bredeson 은 말한다.
"위스콘신 주 케노샤에는 산업, 학교, 그리고 몇몇 기업들이 함께 협력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2학년부터는 모든 학생들이 일주일에 한 번씩 제조 연구실을 방문하는데, 이는 남자들만 제조와 건설에 들어간다는 고정관념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학생들에게 안전 및 수학, 팀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기본적인 기술 교육을 제공한다. 이것은 매우 훌륭한 모델이고 그들에게 디지털 세계를 소개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다. 모든 소년 소녀들이 어릴 때부터 제조에 대해 배운다면 어떨까요?”
교육용기술솔루션에대한자세한내용은다음웹사이트를참조하십시오